![]() |
황호진예비후보(사진_후보사무실) |
[굿모닝전북=오운석기자] 전북교육감 예비후보인 황호진 전 전북부교육감이 10일, 전북교육청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디지털 인재양성을 위한 미래교육’ 정책을 발표했다.
황호진 전 부교육감의 창의융합형 디지털 인재양성을 위한 4가지 방안에는 ▷ 모든 초등학교 AI전담교사 배치 ▷코딩교육 의무시간 2배이상 확대 ▷‘4차산업혁명체험센터’ 권역별 설립 ▷초 6학년 전체 스마트단말기 지급과 미래형 ICT 스마트 교실 단계별 구축 등이 담겼다.
황 전 부교육감은 AI(인공지능) 핵심 역량을 갖춘 혁신 인재 양성을 위해 “AI 전담 교사 양성, AI교실 시범 구축, 기초학력미달 학생 및 다문화 학생 맞춤형 AI 교사운영 등을 통한 AI기반 융합교육으로 미래교육을 강화하겠다”고 했다.
그는 이어 “4차산업혁명 시대가 시작되면서 ‘컴퓨팅 사고력’은 핵심 역량이 되었고 창의력과 연결된다”며, 정보와 기술을 제대로 사용할 줄 아는 ‘NEW COLOR 미래인재’ 양성을 위한 ‘디지털리터러시’ 교육 도입을 강조했다.
황 전 부교육감은 “현재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17시간, 중학생은 34시간 이상 코딩교육이 의무화되었지만, 실제적 교육을 위해선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며, “초등학교 코딩교육 의무시간을 2배 이상 확대하는 보편화된 정보교육의 강화가 필요하다”고도 했다.
또한 “중고교 정보교사 비율이 경기는 125%인 반면, 전북은 342개교 중 정보교사가 110명 32.16%에 불과해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부족한 실정이다”고 지적했다.
황 전 부교육감은 IoT, 빅데이터, 블록체인, 3D프린팅, 스마트모빌리티, 인공지능 등 6대 미래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4차산업혁명체험센터’ 권역별 설립과 도내 초등 및 중등학생 전용 ‘메이커 스페이스’ 권역별 조성, 초등학교 6학년 전체 학생 스마트 단말기(테블릿 PC) 지급 등의 정책도 내걸었다.
황호진 전 부교육감은 “미래사회에서는 컴퓨터 활용 교육을 제대로 받은 디지털 인재와 그렇지 않은 학생간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이다”며, “인공지능, ICT, 컴퓨터활용능력에서 뒤처지지 않는 디지털에 강한 전북교육을 만들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한편, 황 전 부교육감은 최근 행안부가 발표한 1천명이 넘는 교원 정원 감축안은 “고교학점제 실시와 개별 맞춤형 교육 등 포괄적 미래 교육에 완전히 역행하는 근시안적 정책방향”이라며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금은 감축이 아니라 더 투자하고 확대해야 할 때”라며, “정부는 학령 인구 감소를 학급 당 학생 수 감축과 개별 맞춤형 교육환경으로 개선하는 기회로 받아들임으로써 초중고 교육의 질을 높이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황호진 전 부교육감은 행정고시 출신으로 교육부 학교정책실 교원정책과장, 주OECD 대한민국대표부 교육관, 전라북도교육청 부교육감을 거친 현장형 교육전문가이다. 국가교육정책 개발과 다양한 교육현장 경험을 갖춘 미래 교육 시대의 준비된 적임자로도 평가받고 있다.
[기자회견문 요지 ]
더 이상 뒤처지면, 미래는 없습니다.
전북교육이 미래교육의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저는 지난 3일, 전북교육감 예비후보로 등록했습니다. 봉하마을에서 노무현 대통령님 묘소를 참배하면서, 교육의 공공성 강화와 특권과 반칙 없는 공정한 교육기회 제공을 통해 출발선부터 평등한 전북교육을 만들겠다고 마음속 깊이 다짐했습니다.
저 황호진, 참여와 자치를 통한 교육공동체를 실현하고 그리고 사람이 함께 사는 세상을 만들고자 하신 노무현 대통령의 꿈을 이어갈 것입니다.
OECD에서 2020년에 발표한 ‘미래 학교교육 네가지 시나리오’ 보고서에서는 학교교육의 확대, 교육의 아웃소싱, 학습허브로서의 학교, 모든 곳에서 이루어지는 학습 등을 제시했습니다. ‘모든 곳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은 시간과 장소에 제약이 없는 교육의 일상화가 가능한 시나리오의 하나입니다.
우리 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는 미래교육으로의 대전환은 우리 전북교육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고 있습니다.
저 황호진은 창의융합형 디지털 인재양성을 위한 4가지 방안을 제시합니다.
첫째, AI 전담교사를 모든 초등학교에 배치하겠습니다.
AI(인공지능) 핵심 역량을 갖춘 AI 혁신 인재 양성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AI 전담 교사 양성, ▷AI 전담교사 도내 모든 초등학교 배치, ▷AI교실 시범 구축 ▷기초학력미달 학생 및 다문화 학생 맞춤형 AI 교사 운영 등을 통한 AI기반 융합교육으로 미래교육을 강화하겠습니다.
둘째,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을 도입하고 코딩교육 의무시간을 2배이상 확대하겠습니다.
4차산업혁명 시대가 시작하면서 ‘컴퓨팅 사고력’은 핵심 역량이 되었고 창의력과 연결됩니다. 정보와 기술을 제대로 사용할 줄 아는 ‘NEW COLOR 미래인재’ 양성을 위해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을 도입하겠습니다.
셋째, 4차산업혁명체험센터를 권역별로 설립하겠습니다.
IoT, 빅데이터, 블록체인, 3D프린팅, 스마트모빌리티, 인공지능 등 4차산업혁명시대의 6대 미래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4차산업혁명체험센터’ 설립을 통해 미래역량을 갖춘 인재를 키워낼 것입니다.
넷째, 미래형 ICT 스마트 교실을 구축해나가겠습니다.
도내 권역별로 초등 및 중등학생 전용 ‘메이커 스페이스’를 조성하고 등학교 6학년 전체 학생에게 매년 스마트 단말기(테블릿 PC)를 지급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비대면 원격수업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도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한 교육을 확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린스마트미래학교’ 추진은 시공간을 초월한 학습자원을 활용하고 전자칠판, 스마트테이블 디지털교과서 등 미래형 교수학습이 가능한 에듀테크 기반 스마트 교실을 마련할 것입니다.
2021년 교육통계연보에 따르면, 중고교 정보교사 비율이 경기는 125%인 반면, 전북은 342개교 중 정보교사가 110명 32.16%에 불과해 전국에서 가장 부족합니다. 무려 4배 차이입니다. 지역별 AI(인공지능) 관련 동아리를 운영하는 중고교 비율에서도 충남은 52.95%인데, 전북은 7.07%에 불과합니다.
17개 시도에서 16번째입니다. 미래사회에서는 컴퓨터 활용 교육을 제대로 받은 디지털 인재와그렇지 않은 학생 간 격차는 더욱 벌어질 것입니다.
덧붙여, 최근 행안부가 발표한 1천명이 넘는 교원 정원 감축안은 고교학점제 실시와 개별 맞춤형 교육 등 포괄적 미래 교육에 완전히 역행하는 근시안적 정책방향으로 저 황호진은 단호히 반대합니다.
황호진의 전북교육 Reset! 전북교육대전환!
오운석 기자 info1122@naver.com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는 네트워크 굿모닝전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