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제시청 |
시에 따르면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도시들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인구감소, 지역소멸, 초고령화”3대 인구리스크 근본적 타개를 위해 인구 활력의 핵심층인 청년들의 삶을 보장하는 김제形 청년정책에 매진하고 있으며, 최우선 과제로 청년 세대의 가장 큰 고민인 주거와 결혼과 출산에 따른 경제적 부담 완화를 주안점을 두고 추진중이라고 밝혔다.
먼저, 초기 청년 진로개발 차원에서 전국 최초 보편적 복지인 청소년 드림카드를 신설하여 만16~18세 청소년에게 매월 5만원을 바우처로 지원, 영화관이나 각종 체육시설, 직업기술학원 등에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대학생 생활안정비는 1인 가구 대학생에 대해 학기당 30만원을 지급하는 사업으로 2022년 1월 본격 시행될 예정이다.
김제시에 결혼한 신혼부부에게는 결혼축하금으로 1천만원 지원하여 신혼기 안정적인 정착을 돕고 있으며 1년 이상 김제시에 거주한 만 19세에서 만 49세 이하의 부부가 대상으로 총 4회로 분할 지급하고 있다.
여기에 출산장려금은 첫째아 800만원, 둘째아 1,300만원, 셋째아 1,500만원, 넷째아 1,700만원, 다섯째아 이상 1,800만원이 지급된다. 영아의 출생일 기준으로 1년 전부터 계속하여 김제시에 주민등록을 두고 실제 거주하는 영아의 부 또는 모가 대상이다.
보편적 주거복지 유형을 세분화하여 맞춤형 주거안정을 돕고 있다. 청년부부주택수당은 무주택자인 중위소득 180% 이하 청년 부부에게 월 10만원 최대 10년간 지급하고 있으며, LH행복주택 임대보증금은 청년 및 신혼부부에게 최대 2천만원까지 1회 2년간, 최장 6년까지 지원받을 수 있고 전세자금대출이자지원사업의 경우는 최대 7년까지 연 200만원 한도에서 대출이자를 지원받을 수 있다.
박준배 김제시장은 “청년의 생애전환기에 생활 안정과 경제활동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통하여 지역 발전의 핵심 동력인 청년들이 안착하여 행복한 미래를 꿈꿀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