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북도청 전경 |
전북연구원(원장 권혁남)은 `전라북도 자연환경 훼손지역 녹색복원 추진방안 연구`라는 정책브리프를 통해 전라북도 녹색복원 사업 추진을 위한 중장기 전략과 과제를 제시했다.
녹색복원 사업은 자연의 가치를 중심에 두고, 자연성이 훼손된 모든 국토 공간을 복원하는 것이다. 환경부는 `자연환경보전법`을 개정하여 2023년부터 녹색복원 사업 개념을 담고 있는 `자연환경복원사업`의 후보지 목록을 도출하고, 순차적으로 사업을 추진·지원할 예정이다.
천정윤 박사(연구책임)는 국내·외 녹색복원 정책동향과 전라북도의 자연생태계 훼손사업 추진현황 및 지난 30여 년간 토지이용변화 분석, 시·군의 녹색복원사업 수요조사를 통해 미래 전라북도 녹색복원 사업의 추진을 위한 전략과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첫 번째 전략은 자연의 연결성과 구조·기능의 복원으로, ① 산림-하천-연안-도서-해양으로 이어지는 광역생태축을 연결·복원하고, ② 대규모 복합 생태계 복원사업을 발굴하는 과제를 제안했다.
두 번째 전략은 새로운 복원 공간 창출로, ③ 도시와 농산어촌에 대한 그린인프라스트럭처 구축과 ④ 유휴공간, 오염부지의 복원 및 하천 자연성 회복 과제를 추진하는 내용을 담았다.
세 번째 전략은 생태문화 융합을 통한 지역의 회생·발전으로, ⑤ 녹색복원과 생태문화, IT기술을 접목한 생태계서비스 창출, ⑥ 생태복원과 연계한 생태관광지역 조성을 과제로 제시했다.
마지막 네 번째 전략은 녹색복원 추진기반 확보로, ⑦ 생태지도 구축 등 중장기 녹색복원 추진기반 확보, ⑧ 시민참여와 정부․지역․전문가의 연계 협력체계 구축을 추진과제로 제시했다.
천정윤 박사는 “전북형 녹색복원 사업 추진은 세계적인 탄소중립 실천 요청과 국가 녹색복원 정책에 부응하고, 전북의 고유한 생태·환경자산의 가치를 한 단계 높일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에 도와 시·군, 전문가, 도민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력을 통한 적극적인 사업 발굴과 추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