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굿모닝전북신문

6.25 (한국전쟁) 75주년에 불러 온 시 2편..
사회

6.25 (한국전쟁) 75주년에 불러 온 시 2편

오운석 기자 info1122@naver.com 입력 2025/06/25 11:03 수정 2025.06.25 11:49

[6.25 75주년에 불러 온 시, 2편]

 

모윤숙 시인(출처_한국현대문학대사전)

국군은 죽어서 말한다 

 

                                                                                                                                                                           시인 모윤숙

나는 광주 산곡을 헤매다가
문득 혼자 죽어 넘어진 국군을 만났다.

산 옆의 외따른 골짜기에
혼자 누워 있는 국군을 본다
아무 말 아무 움직임 없이
하늘을 향해 눈을 감은 국군을 본다

누런 유니포옴 햇빛에
반짝이는 어깨의 표지
그대는 자랑스런
대한민국의 소위였구나
가슴에선 아직도
더운 피가 뿜어 나온다
장미 냄새보다 더 짙은
피의 향기여!
엎드려 그 젊은 죽음을 통곡하며
듣노라! 그대가 주고 간 마지막 말을…….

나는 죽었노라
스물다섯 젊은 나이에
대한민국의 아들로
숨을 마치었노라
질식하는 구름과 원수가 밀려오는
조국의 산맥을 지키다가
드디어 드디어 숨지었노라

내 손에는 범치 못할 총대
내 머리엔 깨지지 않을 철모가 씌워져
원수와 싸우기에
한 번도 비겁하지 않았노라
그보다도 내 피 속엔
더 강한 혼이 소리쳐 달리었노라
산과 골짜기 무덤과 가시 숲을
이순신(李舜臣) 같이
나폴레옹 같이 시이저 같이
조국의 위험을 막기 위해 밤낮으로
앞으로 앞으로 진격! 진격!
원수를 밀어 가며 싸웠노라
나는 더 가고 싶었노라
저 머나먼 하늘까지
밀어서 밀어서 폭풍우같이
뻗어 가고 싶었노라

내게는 어머니 아버지
귀여운 동생들도 있노라
어여삐 사랑하는 소녀도 있었노라
내 청춘은 봉오리지어
가까운 내 사람들과
이 땅에 피어 살고 싶었었나니
내 나라의 새들과 함께
자라고 노래하고 싶었노라
그래서 더 용감히 싸웠노라
그러다가 죽었노라

아무도 나의 죽음을
아는 이는 없으리라
그러나 나의 조국 나의 사랑이여!
숨지어 넘어진 이 얼굴의 땀방울을
지나가는 미풍이
이처럼 다정하게 씻어 주고
저 푸른 별들이 밤새
내 외롬을 위안해 주지 않는가!

나는 조국의 군복을 입은 채
골짜기 풀숲에 유쾌히 쉬노라
이제 나는 잠시 피곤한 몸을 쉬이고
저 하늘에 날으는 바람을 마시게 되었노라
나는 자랑스런 내 어머니
조국을 위해 싸웠고
내 조국을 위해 또한
영광스레 숨지었노니
여기 내 몸 누운 곳
이름 모를 골짜기에
밤 이슬 내리는 풀숲에
아무도 모르게 우는
나이팅게일의
영원한 짝이 되었노라

바람이여!
저 이름 모를 새들이여!
그대들이 지나는 어느 길 위에서나
고생하는 내 나라의 동포를 만나거든
부디 일러 다오,
나를 위해 울지 말고
조국을 위해 울어 달라고

저 가볍게 날으는 봄나라 새여
혹시 네가 날으는 어느 창가에서
내 사랑하는 소녀를 만나거든
나를 그리워 울지 말고,
거룩한 조국을 위해
울어 달라 일러 다오

조국이여! 동포여! 내 사랑하는 소녀여!
나는 그대들의 행복을 위해 간다
내가 못 이룬 소원 물리치지 못한 원수
나를 위해 내 청춘을 위해 물리쳐 다오

물러감은 비겁하다
항복보다 노예보다 비겁하다
둘러 싼 군사가 다 물러가도
대한민국 국군아! 너만은
이 땅에서 싸워야 이긴다,
이 땅에서 죽어야 산다

한 번 버린 조국은 다시 오지 않으리라,
다시 오지 않으리라
보라, 폭풍이 온다 대한민국이여!
이리와 사자떼가 강과 산을 넘는다
운명이라 이 슬픔을 모른 체하려는가
아니다, 운명이 아니다
아니 운명이라도 좋다
우리는 운명보다 강하다! 강하다!
이 원수의 운명을 파괴하라 내 친구여!

그 억센 팔다리
그 붉은 단군의 피와 혼
싸울 곳에 주저 말고
죽을 곳에 죽어서
숨지려는 조국의 생명을 불러 일으켜라

`조국을 위해선
이 몸이 숨길 무덤도
내 시체를 담을
작은 관도 사양하노라
오래지 않아 거친 바람이
내 몸을 쓸어 가고
젖은 땅의 벌레들이
내 몸을 즐겨 뜯어 가도
나는 유쾌히 이들과 함께 벗이 되어
행복해질 조국을 기다리며
이 골짜기 내 나라 땅에
한 줌 흙이 되기 소원이노라'

산 옆 외따른 골짜기에
혼자 누운 국군을 본다
아무 말 아무 움직임 없이
하늘을 향해 눈을 감은 국군을 본다

누런 유니포옴
햇빛에 반짝이는 어깨의 표지
그대는 자랑스런
대한민국의 소위였구나

가슴에선
아직 더운 피가 뿜어 나온다
장미 냄새보다 더 짙은 피의 향기여!
엎드려 그 젊은 죽음을 통곡하며
나는 듣노라, 그대가 주고 간 마지막 말을....

 

嶺雲 모윤숙, 1910년 출생, 이화여자 전문학교, 1969년 여류문인협회장, 1990년 6월 7일 사망

 

김현지의 시, 할아버지 묘지에서(출처_국가보훈처)

 

할아버지 묘지에서

                                                                                                                                                                   문학초등학교 1년 김현지

할아버지 산소에 가서 

뛰어놀다 다친 내 무릎

 

할아버지 묘지를 바라보다

생각에 잠긴다

 

조금 다친 내 무릎도

이렇게 많이 아픈데

나라 위해 목숨 바친 할아버지

얼마나 많이 아프셨을까?

 

먼 하늘 바라보니 

할아버지 생각에 눈물이 절로 난다

 

이 땅에서 아팠던 할아버지

하늘나라에서 무엇하고 계실까?

집에 가면서도

자꾸만 생각나는 할아버지 묘지

 

김현지

2018년 국가보훈처의 보훈문예작품 공모전 장려상

전주 문학초교 1년 (현 중2년)

 

 

모윤숙 시인의 아픈 6.25 참상을 절절히 표현한 시와 전주 문학초등학교 1학년이 바라본 6.25 당시 전사했던  할아버지의 묘지에서 소감이 잘 그려진 시다.

 

75주년 6.25를 맞이하여 전물군경과 전쟁에 희생된 우리 선열들에게 깊이 고개를 숙여 명복을 빕니다. 

 

 

오운석 기자 info1122@naver.com

따뜻한 뉴스 행복한 만남 굿모닝전북신문

 

저작권자 © 굿모닝전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