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미래를 준비할 시기인 청년들이 일상생활을 할 수 없는 가족에 대한 간병 등을 이유로 고립되는 일이 없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시는 경제적 능력이 없는 청년들이 질병과 장애 등으로 인해 ..
섬 모양이 고슴도치를 닮은 부안군 위도가 동물을 좋아하거나 반려동물과 함께 여행하기에 안성맞춤인 찾아가고 싶은 봄 섬-동물섬으로 선정됐다. 전북도에 따르면 행정안전부가 지난 2015년부터 섬 ..
전주시가 시민들의 생활 속 인문 가치 확산을 위해 다양한 인문학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시는 올해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도서관협회가 주관한 ‘도서관 길 위의 인문학’ 공모사업에 선?..
전라북도와 국민연금공단은 데이터 활용 놀이터인 ‘전라북도 금융혁신 빅데이터 플랫폼 및 센터’를 5월12일부터 전 국민을 대상으로 운영한다고 밝혔다. 본 서비스는 디지털 대전환 속 디지털 금?..
전라북도교육청이 자기주도 학습·연구 역량을 기르기 위한 2022년 학생주도과학동아리를 운영한다. 도교육청은 과학적 흥미를 지닌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동아리를 구성해 다양한 과학체험활동을 ??..
전라북도교육청이 학생 간 정보격차 해소와 교육 소외계층의 학습 환경 개선을 위해 교육정보화 지원사업을 운영한다. 교육정보화 지원사업이란 가정형편에 따른 교육정보화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전라북도교육청이 2023학년도 서울대학교 입학전형을 알아보는 시간을 마련한다. 도교육청은 오는 12~13일 이틀간 창조나래 및 2층 강당에서 학생·학부모·교사를 대상으로 `서울대 입학사정관과의 ??..
전라북도교육청에서는 배려와 존중의 양성평등한 학교 문화 조성에 박차를 가하고 나섰다. 도교육청은 10일 오후 3시 인성건강과 상담실에서 양성평등 중점학교 운영 업무담당자 사전협의회를 갖고..
전주시 서서학동 전주교대 전주부설초등학교 부지가 마을 주민들의 전시·공연·놀이·휴식을 위한 예술광장으로 탈바꿈된다. 전주시와 전주교육대학교는 10일 전주시장실에서 김승수 전주시장과 ..
전주시와 전주비전대학교(총장 정상모)가 학령인구 감소와 지역소멸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특화 인재를 함께 양성한다. 시는 10일 전주비전대학교와 ‘고등직업교육거점지구 사업’ 추진을 위한 ??..
..
전북연구원은 ˝전북의 14개 시군별 인구이동 특성과 대응 방안˝이라는 이슈브리핑을 발간했다. 정부는 전국 89개 지역을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고시한 후 인구감소 대응기금을 편성(연간 1조원, 10??..
전라북도평생교육장학진흥원은 전라북도의 금융중심지 조성을 위한 국제금융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에서 국제금융분야를 전공하거나 동 분야로의 진출을 준비중인 전북출신 대학생을 대상으로 60명?..
전라북도는 감염병, 풍수해 등 각종 재난 발생 시 초기현장 대응 및 신속한 복구가 가능하도록`재난관리자원 광역거점센터`를 연말까지 구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본 센터는 `22년도 행정안전부 국?..
전북도는 5월 10일 `2.4GW 전북 서남권 해상풍력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지자체-사업자-항만운영사 간 군산항 활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날 협약식에는 전라북도 전대식 혁신성장산업..
전북도는 원활한 일반의료체계 전환5.23을 위해 감염병 인프라를 단계적으로 조정한다고 밝혔다. 앞서 도는 정부의 단계적 일상회복 이후, 확진자 급증에 따라 의료역량 제고를 위하여 행정명령, 의?..
전주시가 주택 유지관리에 도움을 주는 무료 집수리 교육을 현장 체험 실습 중심으로 운영한다. 시는 11일과 12일 이틀간 △도배·장판 △도장·방수의 2개 과목으로 운영하는 무료 집수리 교육을 이론..
배움의 기회를 놓친 전주지역 비문해·저학력 성인들을 위해 올해도 기초한글교육과 초등학력인정교육이 운영된다. 전주시는 올해 교육부가 주최한 ‘2022년 성인문해교육 지원사업’ 공모에서 기초..
전라북도는 올해로 13기를 맞이하는‘마스터와 함께하는 전북단편영화제작스쿨’을 작년에 이어 전북독립영화협회, KT·G 상상 univ와 함께 진행한다. ‘2022 마스터와 함께하는 상상단편영화제작프로..
전주시가 탄소중립 실현과 시민 생활 속 녹색생활 실천을 유도하기 위해 일회용품 줄이기 운동을 전개한다. 시는 10일 출근길 유동인구가 많은 충경로 네거리에서 ‘1회용품 없는 날’ 홍보 캠페인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