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전라도오천년사바로잡기500만도민연대 출범(사진_도민연대) |
[굿모닝전북=오운석기자] 전라남북도와 광주시가 주관해온 ‘전라도천년사’의 발간사업이 '전라도오천년사바로잡기 500만 전라도민연대와 시민단체들'의 반발에 부딪혀 갈 길이 험난함을 예고했다.
시민단체들은 ‘전라도 천년사’의 전체 내용에 대한 검증과 도민들의 혈세 24억의 사용 내역 공개를 요구했다.
10일, 광주 5.18민주화운동기록관 대강당에서 출범식을 연 '전라도오천년사바로잡기 500만 전라도민연대'(대표 박형준는 창립성명에서 제시한 7개 요구사항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 “500만 도민과 함께 ‘전라도 천년사’(이하 천년사)의 전면적 폐기운동에 들어가겠다”고 선언했다.
![]() |
전라도오천년사도민연대 출범식(사진_도민연대) |
창립식에는 식민사관 청산 가야사 광주연대, 남원 가야역사 바로알기 시민모임, 가야 문화진흥원, 고녕가야 선양회, 식민사관 청산 가야사 전국연대, 한가람역사 문화연구소, 대한사랑 전북지부, 남원가야 역사 바로세우기시민연대, 민족문제연구소 광주지부, 가야연구원, 전북 가야역사연대, 중도역사 문화연구소, 식민사관 청산 가야사 경남연대 등 전국에서 약 200여 명이 참석해 성황을 이뤘다.
이날 양경님 전북 집행위원장의 경과보고, 박형준 상임집행위원장 인사말, 나간채 상임고문 환영사, 김영광 광주 집행위원장의 창립선언서 낭독과 이용중 가야사전국연대 운영위원장 등의 축사가 있었다.
출범 성명서에서 “일본 식민사학자들이 식민화의 망상으로 만든 「일본서기」와 ‘임나일본부설’이 (작년에) 죽은 줄 알았다”면서 그러나 “‘천년사’를 통해 다시 ‘기문(己汶)’을 살려내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해남을 ‘침미다례(忱彌多禮)’로 전남 내륙을 ‘임나4현(任那四縣)’으로 왜곡하고 둔갑시켜 전라도를 포함한 한반도 남부 전체를 일본의 식민지 영토인 것처럼 서술하고 있다”고 분개했다.
도민연대는 이어 “ ‘천년사’ 편집자들과 관련자들은 ‘임나일본부설’의 나팔수가 되어 한반도 남부가 고대로부터 일본의 속국이었다고 주장하여 ‘한반도 침략이 아니라 고대사의 복원’이라는 일본제국의 정한론을 우리 스스로 인정해주는 미친 짓을 하고 있다”고 지적하고 나아가 이는 “독도를 ‘다케시마’로 만들려는 음모보다 훨씬 심각한 매국 행위”라고 규탄했다.
또 도민연대가 창립선언문에 7가지 요구사항을적시하고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 |
전라도오천년사500만도민연대 창립선언(사진_도민연대) |
[창립선언 7개 요구사항]
하나, 「전라도 천년사」의 내용 중에 임나일본부설과 관련된 지명이나 용어가 사용된 일체를 공개하고 이에 대해 공식 사과하라.
하나, 「전라도 천년사」 편찬 편찬위원회의 명단과 투여된 전라도민의 혈세 24억의 사용 내용에 대해 공개하라.
하나, 「전라도 천년사」 편찬 사업이 전라도 오천년사로 확대된 이유에 대해 공개하라.
하나, 「전라도 천년사」 공시, 공람 절차를 배제하여 전라도민의 최종본 열람과 이의 신청 권리를 박탈한 이유를 공개하라.
하나, 「전라도 천년사」 ‘e-book’ 공개를 통한 의견 수렴과 쟁점 검토에 대하여 전라도민들의 다양한 의견 제시를 담보할 수 있는 대책을 수립하라.
하나, 「전라도 천년사」 편찬 위원들을 제외한 재검증위원회를 공개적인 방법으로 구성하고 시민 공개토론회 등 절차적 정당성을 확보하라.
하나, 학계, 정치계, 언론계 등 우리 사회 각 분야의 친일 행위 감시를 위해 시민 역사교육을 강화하고, 식민사관 완전 청산을 위한 대책을 수립하라.
도민연대는 “전라도 오천년사를 바로 잡는 일은 전라도의 문제이기 이전에 대한민국의 문제이고 민족의 문제”라고 전제하고, “‘천년사’에 들어 있을 단군의 고조선사, 마한 백제사와 근대 일제 식민지시대”까지 전반적으로 내용을 검증하겠다고 밝혀 주목된다.
또한, 도민연대측은 이번 ‘천년사’ 사태를 “우리 민족의 존재 자체를 부정하려는 세력들과의 전쟁”이라고 규정하고 “반드시 이겨서 우리 역사를 지켜내야 한다”고 역설했다.
임원은 상임집행위원장에 박형준씨, 전북집행위원장에 양경님씨, 광주집행위원장에 김영광씨를 집행부로 선출 및 인준했다.
![]() |
전라도오천년사500만도민연대 출범 기념(사진_도민연대) |
[ '전라도 오천년사' 바로잡기 500만 전라도민연대 출범식 ]
* 시 간 : 2023. 1. 10(화) 오후 2시
* 장 소 : 5ㆍ18 민주화운동기록관 (광주 동구 금남로 221)
* 문 의 : 김영광 광주집행위원장 (010 2006 1966)
임승렬 '출범식' 준비 간사 (010 4660 2116)
< 상임집행위원회 >
* 박형준 (전남) 대표 상임집행위원장
* 양경님 (전북) 공동 상임집행위원장
* 김영광 (광주) 공동 상임집행위원장
< 고문단 >
* 조재육 (전, 광주ㆍ전남연구원장) * 나간채 (전남대 명예교수)
* 이현채 (한민족문명진흥원장) * 강동완 (전, 조선대 총장)
* 김정길 (6ㆍ15선언 공동위원장) * 김춘섭 (전남대 명예교수)
* 정병춘 (환단학회 호남부회장) * 송용석 (환단학회 호남부회장)
* 한병성 (대한사랑 광주지부장) * 정현애 (광주역사바로세우기모임 )
* 정희곤 (전 광주시의원, 전교조) * 김기일 (4ㆍ19 문화원장)
* 이기락 (호남유권자연맹) * 김갑제 (한말호남의병기념사업회)
* 김종선 ('칭찬합니다'세계운동본부) * 김근호 (원로 목사님)
* 김기수 (전, 농협 전북본부장) * 김동수 (전, 백제예술대 교수)
* 소병호 (성균관 유도회 부회장) * 유성환 (동서남북포럼 전북대표)
* 양희섭 (전, KBS전주방송총국장) * 최규영 (전북가야역사연대 대표)
* 오해천 (남원가야역사연대) * 노문주 (남원신문사 대표)
* 도락주 (대한사랑 전북지부장) * 김재철 (정읍연예협회,가수 겸 시인)
* 고재성 (가야사 진도연대) * 박재현 (대한사랑 목포지부장)
* 라 갑 (배달문화선양회장) * 임채만 (무등예술단 단장, 명인)
< 3개 광역 시ㆍ도위원회 >
* 전남위원회 (박형준) :
* 전북위원회 (양경님) :
* 광주위원회 (김영광) :
< 학술위원회 >
* 이덕일 (순천향대 교수) * 남창희 (인하대 교수) * 이찬구 (미사협 공동대표) * 이돈성 (재미 사학자)
* 최규영 (전북가야역사연대 대표) * 이완영 (미사협 사무총장) * 박찬화 (순천향대 ) * 박덕규 (인하대 융합고고학 )
* 오행수 (4ㆍ19 문화원 사무처장) * 김수지 (한가람연구소 연구위원) * 조용성 (순천향대) * 송기섭 (한가람연구소 학술위원)
* 이상훈 (전북가야역사연대, 교사) * 이성채 (남원가야역사연대 대표) * 김일환 (장수역사문화마당 대표) * 이점수 (전주 경실련)
* 김영숙 ('중도'역사문화연구소 대표) * 한병성 (대한사랑 광주지부장) * 김성문 (가야연구원장) * 김유희 (전, 경기대 교수)
* 김태윤 (남원 NGO활동가)
< 전국위원회 >
* 도명 스님 (가야문화진흥원 이사장) * 지정 스님 (고녕가야선양회장)
* 자황 스님 (염불선연구소장) * 김성문 (대구 가락종친회장)
* 이용중 (가야사 전국연대 대표) * 황영선 (가야사 서울연대)
* 이광희 (김해독립운동기념사업회) * 이순일 (가야사 경남연대)
* 강감찬 (가야사 부산연대) * 김영숙 (중도역사문화연구소)
< '전라도 오천년사' 왜곡ㆍ날조 백서 특별위원회 >
* 최종본 공개 후 학술위원회와 논의
< 지지ㆍ후원 단체 >
* (사) 미래로가는바른역사협의회 * (사) 한배달 * (사)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 (사) 대한사랑
* 가야사불교대책위원회 * (사) 민족문제연구소 전북지부 * (사) 민족문제연구소 광주지부
* 식민사관청산가야사 전국연대 * 전북가야역사바로세우기 시민연대 * 남원가야역사바로알기 시민모임
* 남원가야역사바로세우기 시민연대 * 장수역사문화마당 * (사) 대한사랑 전주지부
* (사) 대한사랑 남원지부 * (사) 대한사랑 익산지부 * 환단학회 호남지회 * 광주환단고기연구회
* (사) 대한사랑 광주지부 * 역사바로세우기 시민모임 * 4ㆍ19 문화원 * 호남의병유적보전회
* 광주전남 시민행동 * 식민사관청산가야사 광주연대 * (사) 대한사랑 목포지부
* (사) 대한사랑 강진ㆍ해남지부 * 식민사관청산가야사 전남연대 * 식민사관청산가야사 해남연대
* 식민사관청산가야사 진도연대 * 미래유산문화포럼 * 해남역사클럽
오운석 기자 info1122@naver.com
따뜻한 뉴스 행복한 만남 굿모닝전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