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만금 리튬염 양산공장’ 건립을 위한 투자협약식(사진-전북도청) |
[굿모닝전북=오운석기자] 전라북도(김관영 도지사)와 새만금개발청·군산시․한국농어촌공사는 6월 15일 국내 1위 이차전지 전해액 제조기업인 ㈜엔켐과 ㈜중앙디앤엠이 공동 설립한 ㈜이디엘사와 ‘새만금 리튬염 양산공장’ 건립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 리튬염 : 이차전지 4대 핵심소재(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중의 하나인 전해액의 주 생산원료로서 배터리 수명, 충방전 효율, 안정성 등 성능 향상에 기여
협약식에는 김관영 전라북도지사, 김규현 새만금개발청장, 강임준 군산시장, 조현찬 한국농어촌공사 새만금산업단지사업단장, 임관묵 ㈜엔켐 부사장, 김영신 중앙디앤엠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디엘은 새만금 국가산단에 총 6,005억 원을 투자해 연간 생산량 5만 톤급 리튬염 생산공장을 올 하반기 중에 착공하기로 했다.
사업은 총 3단계로 추진되며, 1단계는 ‘24년 말, 2단계는 ’25년 말, 3단계는 ‘26년 말 준공을 목표로 하고 총 700여 명의 신규 인력이 채용될 예정이다.
ㅇ 새만금에서 생산되는 리튬염은 ㈜엔켐의 미국 및 유럽 내 공급망을 통해 북미와 유럽 소재 기업들에 판매될 예정이다.
기업 측은 급변하는 이차전지 시장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미국 아이알에이(IRA), 유럽 시알엠에이(CRMA) 등을 기회로 수직계열화와 규모의 생산경제를 통한 세계적 도약을 목표로 새만금 투자를 결정했다.
특히, 6월 말 ‘새만금 투자진흥지구 지정’을 앞둔 상황에서 투자 시 받을 수 있는 파격적인 세제혜택과 신속한 행정처리, 여기에 철도․공항․항만 등 핵심 기반시설이 빠르게 구축되고 있는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투자를 결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리튬염은 이차전지 전해액 생산에 필요한 원소재로서, ‘22년 상반기에만 중국에서 전체 수입량의 97%(약 11억6,540만달러)*가 들어왔다. 따라서 이번 리튬염 생산공장 유치는 중국에서 대부분 수입하는 리튬염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고, 안정적인 공급과 국산화를 통해 국내 이차전지산업 경쟁력 강화에 대한 기여가 예상된다.
전라북도·새만금개발청 등은 이번 투자가 이차전지소재 공급망 안정화와 함께, 양질의 일자리 창출과 지역기업 상생 등 국가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김관영 지사는 “(주)이디엘의 전북 새만금 투자를 진심으로 환영하며, 글로벌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이번 투자는 전북이 글로벌 이차전지 소재 공급기지로 자리매김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유관기관과 함께 이차전지 관련 기업들이 성공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김규현 새만금개발청장은 “새만금에 국내외 이차전지 분야 선도기업들이 대거 입주하면서 이차전지 산업 거점으로 부상하고 있다.”라면서, “현재 공을 들이고 있는 대규모 투자 건들이 여러 건 있다. 기업 밀착관리와 맞춤형 소통으로 하반기 중에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잇따른 이차전지 소재 관련 대규모 투자가 이어지면서, 새만금국가산단에는 총 15개 이차전지 관련 기업이 입주가 확실시 되면서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이 더욱더 절실해지게 되었다.
오운석 기자 info1122@naver.com
따뜻한 뉴스 행복한 만남 굿모닝전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