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라북도청 |
전라북도 기관·단체 인권협의회는 도내 14개 기관·단체간 연대·협력과 도민의 인권증진을 위해 인권시책 발굴, 제도 개선 등을 논의하기 위해 2017년 9월 구성했다. 매년 상·하반기 정기회의와 함께 기관·단체간 협력 등 필요한 사안이 있을 경우 수시로 임시회의를 개최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전북지방경찰청, 전북교육청, 전북평화와 인권연대, 전북청소년상담복지센터 등 각 기관·단체에서 올해 추진 중인 인권분야 주요 시책 등을 상호 공유하고, 2022년 전라북도 인권옹호자 포럼, 인권분야 시책 발굴 등 기관·단체간 상호협력이 필요한 사안에 대해 논의했다.
특히 전라북도가 지난해 말 수립한`제2차 전라북도 인권보호 및 증진 기본계획(2022~2026)`에 대한 논의를 통해 내실 있는 인권정책 실행의 중요성을 공감하고, 도민이 체감할 수 있는 인권정책을 추진해 도민의 인권증진과 인권문화를 확산하는 데 기관‧단체간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또한 올해로 4회째를 맞이하는 전라북도 인권옹호자 포럼에서 아동, 청소년, 여성, 노인,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와 관련한 다양한 인권 이슈를 발굴하고, 공론화 과정을 통해 소외된 계층의 권익증진 방안을 함께 모색하고 대응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전라북도 이정로 인권정책팀장은 “인권도시 전북 구현을 위하여 지역 인권거버넌스 역할을 담당하는 전라북도 기관·단체 인권협의회가 내실있게 운영될 수 있도록 각 기관·단체의 적극적인 참여와 협조”를 당부했다.
한편, 전라북도는 지난해 말 체계적이고 지속가능한 인권정책 추진을 위해 제2차 전라북도 인권보호 및 인권증진 기본계획(2022~2026)을 수립한 바 있다. 신뢰와 존중으로 포용하는 인권도시 전북을 비전으로 ①예방적 인권행정 지원체계 강화, ②공공기관 인권경영 기반구축, ③사회적약자 맞춤형 인권보장제도 수립 ④도민 참여형 인권존중문화 확산 등 4대 목표 설정 및 52개 세부과제를 선정해 올해부터 추진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