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중국사무소는 9일 오전 부안의 강산명주와 중국 상하이 소재 추다오 공잉리앤커지 유한공사간 수출계약 체결식을 진행했다. 청와대 만찬용 술로도 선정된 부안강산명주의 ‘뽕주’는 이번 ..
전북도립미술관은 전시해설 자원봉사자(도슨트) 양성 교육 수강생을 15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미술관은 영호남 지역 유일의 도슨트 전문 양성 교육기관으로 올해 5회째를 맞았다. 이번 과정은 ..
전북도는 도민의 안전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의료폐기물 배출 의료기관을 점검해 위반사항 14건을 적발했다고 9일 밝혔다. 앞서 전북도 특벌사법경찰과는 2022년 12월 13일부터 2023년 1월 26일까지 7??..
전라북도는 ‘전라북도 공공보건의료지원단’과 함께 9일 원광대학교 의과대학에서 도내 공공의료기관 전문인력 및 관련 공무원 50여 명을 대상으로 `2023년 공공보건의료계획 수립 및 시행 역량 강화..
전라북도의회 교육위원회는 8일 제397회 임시회 제3차 회의에서 교육연수원 등 7개 원과 전주교육문화회관 등 6개 관에 대한 2023년 상반기 업무보고를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7개 원〕 김명지 위원..
전라북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와 전북연구원(원장 권혁남)이 2월 8일 공동세미나 kick-off 회의를 개최했다. 공동세미나는 행정자치위원회 소속 의원이 의정활동 역량 강화와 전북 도정 발전을 위한 ??..
전라북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는 8일, 제397회 임시회 제3차 회의를 개최하여 기획조정실 등 2023년도 상반기 업무보고를 청취했다. 행정자치위원회는 2022년도 주요 성과를 면밀히 살피고, 이를 바탕??..
전라북도의회 문화건설안전위원회는 8일 도민안전실을 대상으로 2023년 상반기 업무보고를 청취했다. 문화건설안전위원회는 2022년 주요 성과를 면밀히 살피고, 올해 목표와 중점 추진과제에 대해 심?..
전라북도의회 환경복지위원회는 8일 새만금 남북도로 현장과 고군산군도 장자교를 방문, 현황보고 및 현장을 점검하고 건의 사항을 청취하는 등 현지 의정활동을 펼쳤다. 이날 위원들은 새만금 남북..
서거석 전라북도교육감은 8일 장상윤 교육부 차관을 만나 교육 현안에 대해 긴밀한 논의를 진행했다. 도교육청 5층 교육감실에서 이뤄진 이날 간담회에는 서 교육감을 비롯해 박주용 부교육감, 김숙..
전주지역에서 딸기를 재배하는 농가들이 아침밥을 굶은 아동·청소년을 위한 따뜻한 아침 도시락을 함께 준비하기로 했다. 전주시 딸기연구회는 8일 전주시의 ‘밥 굶는 아이 없는 엄마의 밥상’ ??..
전주시 팔복동 첨단벤처단지에 창업·중소기업을 육성하며 글로벌 혁신성장을 이끌 공공임대형 지식산업센터가 조성된다. 시는 8일 팔복동 전주첨단벤처단지에서 우범기 전주시장과 이기동 전주??..
전주시가 65세 이상 취약계층 노인의 대상포진 예방을 위해 전주지역 의료기관들과 손을 맞잡았다. 시는 8일 덕진보건소 강당에서 우범기 전주시장과 이기동 전주시의회 의장, 정경호 회장을 비롯한 ..
..
전라북도의회 행정자치위원회(위원장 김이재)는 7일, 제397회 임시회 제2차 회의를 개최하여 교육소통협력국 등 2023년도 상반기 업무보고를 청취했다. 행정자치위원회는 2022년도 주요 성과를 면밀히 ..
전라북도의회 문화건설안전위원회(위원장 이병도)는 7일 제397회 임시회 제1차 회의에서 건설교통국, 전북개발공사, 전북교통문화연수원 등 건설교통국과 건설교통국 소관 2개 유관기관의 2023년 상반..
전라북도의회 교육위원회(위원장 김명지)는 7일 제397회 임시회 제2차 회의에서 감사관, 행정국, 7개 원에 대한 2023년 상반기 업무보고를 청취하는 시간을 가졌다. 장연국 위원(비례대표)은 학교 급식??..
전북도의회 농산업경제위원회(위원장 나인권)는 7일 제397회 임시회 기간 전라북도 농업기술원, 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농생명축산식품국에 대한 2023년 상반기 업무보고를 실시했다. 나인권 위원장(..
김종훈 전북도 경제부지사는 8일 농업기술원을 방문해 주요 농촌진흥사업과 영농현안을 점검하고 연구·지도사업이 농생명산업 수도와 스마트농업을 구축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도록 당부??..
새로운 전북, ‘전북특별자치도’의 2024년 1월 18일 출범을 앞두고, 전북의 지역적·역사적·지리적 특성을 살려 새롭게 시작하는 ‘전북특별자치도’를 위해 전북도와 14개 시·군이 힘을 모았다.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