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북도청사 |
이날 위원회에서는 제2차(‘23~‘27년) 전라북도 청년정책 기본계획(안), 2023년 전라북도 청년정책 시행계획(안), 청년참여위원회 지정변경(안) 등 3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 이어서 민간위원장 주재로 ‘청년정책조정위원회 활성화 방안’도 논의했다.
먼저 전라북도는 ‘도전과 기회의 전북, 함께 성장하는 전북청년’이라는 비전과 청년참여 기반의 생애주기별 종합정책 추진을 내용으로 하는`제2차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제2차 청년정책 기본계획`은 ▲청년 생애주기적 정책 지원 시스템 구축, ▲청년참여형 정책 발굴 및 추진 시스템 구축, ▲데이터 및 수요에 기반한 청년정책 평가 및 모니터링을 골자로 변화된 청년정책 기조를 반영하고 청년정책 실효성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수립됐다.
특히, 일자리·창업 중심이었던 전라북도 청년 정책을 청년 삶 전반에 대한 생애주기별 맞춤 정책으로 조정했다. 청년정책 중간조직 및 청년조직 등으로부터 정책 제안을 받는 상향식 사업 발굴 체계도 마련했다.
이어서 ‘도전’, ‘기회’, ‘함께 성장’을 방향으로 한 `‘23년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발표했다.
올해 전라북도 청년정책은 총 94개 사업으로 구성됐다. 전년 대비 580억 원이 증가한 3,165억 원을 투입해 세대별 정책 수요에 맞춰 5대 분야별로 청년정책을 지원한다.
일자리 분야는 진로 탐색(구직)부터 자산 형성(재직)까지 사업 간 유기적 연계로 노동시장 진입 촉진 및 탄탄한 고용안정 사다리를 구축한다.
주거분야는 학업, 취업, 정착 단계별 맞춤형 정책을 통한 주거 부담을 완화한다.
교육분야는 장학금 및 학자금 대출이자 지원으로 교육 기회를 보장하고, 미래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으로 지역산업 인재를 양성한다.
복지·문화분야는 경제적 자립 및 청년생활 안정기반을 조성하고 문화 활동 확산을 위한 콘텐츠 창작활동 및 창업을 지원한다.
참여·권리분야는 청년 정책수요 반영 등 거버넌스 구축 및 청년활동 생태계를 조성한다.
조봉업 전북도 행정부지사는 “새롭게 수립된 제2차 청년정책 기본계획을 차질없이 추진할 수 있도록`’23년 청년정책 시행계획`을 마련했다”며, “전북지역 청년이 기회와 성장동력을 얻을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 청년이 정책 과정의 주체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