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라북도 사회적경제 발전 위해 민관 협력! |
2023년 전라북도 사회적경제 발전 시행계획은 전라북도 사회적경제 기본조례에 따른 연차별 시행계획으로, 사회적경제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기반 조성과 사회적경제 기업의 단계별 성장지원을 위한 3,030억 원 규모의 4대 분야 61개 사업을 담았다.
먼저 사회적경제 기업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마을기업 사무장(40명) 지원, 청년혁신가(159명) 양성 및 사회적기업가(41팀) 육성으로 예비사회적기업 진입 등 취‧창업을 유도할 계획이다.
시‧군 중간지원조직도 확대해 민‧관 협업체계를 기반으로 지역별 특색이 반영된 사회적경제 육성사업을 발굴‧지원함으로써 지역단위 실행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또한 경영안정을 위한 재정지원부터 인프라‧디자인 등 사업개발비까지 기업별 맞춤형‧단계별 지원으로 기업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이다. 사회적경제기금 조성‧운용(5억 원), 지역자산화 이차보전 등 금융지원으로 기업의 경영 안정화도 도모한다. 사회적경제 집적 공간인 사회적경제 혁신타운도 3월말 개관을 앞두고 있어 사회적경제 거점화의 중심 역할을 해나갈 전망이다.
이와 더불어 비대면 소비시대를 맞아 온라인, 홈쇼핑 판매지원 등 판로 다양화로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속 성장을 돕고, 사회적경제 기업 제품 우선구매 활동과 공동판매장 운영 지원으로 민간소비를 촉진할 계획이다.
김종훈 전북도 경제부지사는 “사회적경제는 취약계층 일자리 창출 등 우리 사회와 공동체의 문제해결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며, “사회적경제 활성화 사업들을 통해 도내 전반에 사회적 가치가 구현되도록 민간과 함께 지혜를 모으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