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완주군 공모사업 선정률 64%, 그 뒤에 ‘3대 성공 방정식’ 있다 |
13일 완주군에 따르면 각 부서별로 중앙부처와 전북도의 각종 공모사업에 응모한 결과 올해 선정된 사업은 총 64건에 국·도비 확보액만 무려 576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공모사업을 통해 확보한 국·도비 445억 원(78건)와 비교할 경우 131억 원, 29.4% 증가율을 기록하는 셈이다.
사업 1건당 국·도비 확보액 역시 지난해 5억7,000만 원에서 올해 8억8,600만 원으로 55.4%나 껑충 뛰는 등 올해 유치한 각종 공모사업의 규모가 대폭 확대되고 미래 먹거리 산업부터 사회복지와 문화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성과를 거둔 것으로 분석됐다.
실제로, 올해 선정된 주요 공모사업을 보면 산자부의 ‘수소용품 검사지원센터 구축사업’에 낙점돼 국비 210억 원과 도비 99억 원 등 외부재원 309억 원을 확보했으며, ‘사용 후 연료전지 기반구축 및 제조지원 사업’을 통해 국비 100억 원과 도비 25억 원을 거머쥐는 등 수소 인프라 강화에 잇따라 성공했다.
또 환경부의 ‘공공부문 탄소중립 모델 발굴사업’ 공모에 선정돼 국비 42억 원을 끌어왔으며, 과기부의 ‘AI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과 국토부의 ‘취약계층 이용 공공건축물(어린이집) 그린 리모델링 사업’에 선정돼 각각 국비 38억 원과 3억5,000만 원을 손에 쥐었다.
이 밖에 ‘공공 건축물 그린 리모델링 사업’(국토부) 선정을 통해 7억 원 가량의 국비를 끌어왔으며, ‘미세먼지 차단숲 조성사업’(산림청)에 최종 낙점돼 11억 원의 국비를 확보하는 등 크고 작은 각종 공모사업 선정을 통해 지역 현안의 탄력적 추진 기반을 마련할 수 있게 됐다.
완주군이 올해 공모사업 응모에서 대풍(大豐)을 거둔 것은 사업 실 취지에 맞게 응모한 ‘전략적 접근’과 지역의 강점을 앞세운 ‘선택과 집중’, 외부재원을 끌어오려는 ‘열정적 공직 분위기’ 등 ‘3대 성공 방정식’이 숨어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완주군은 올해 100건의 공모 사업에 응모해 64건에 선정되는 등 적중률 64.0%를 기록, △세부 사전준비와 △맞춤형 대응 전략 △부서 간 협업과 공조가 타 지자체와의 경쟁에서 우월적 위치를 선점하는 등 ‘완주군의 성공 방정식’으로 정착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박성일 완주군수는 “코로나19 위기로 가용재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각종 공모사업 선정을 통해 국비와 도비 등 외부재원을 많이 끌어오게 됐다”며 “공직자들의 열정에 힘입어 수소 인프라 확충 등 미래 100년을 이끌어갈 신(新)성장 동력 창출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