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전라북도청 전경 |
지방하천 통합관리시스템은 하천기본계획, 하천 정비현황, 편입토지 현황 등 문서 또는 파일화되어 있는 자료를 전산화해 네이버, 카카오 지도와 같이 웹지도 기반에 구현하는 시스템이다.
도내 지방하천은 459개소(2,875㎞)로 매년 1,300억원을 투자해 하천정비사업 및 하천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상태다.
하지만 그동안 정비사업 완료 후 현황 자료는 문서 또는 파일 형태(CAD 등)로 관리되는 바람에 자료 검색과 활용이 쉽지 않고, 자료 유실 등의 위험도 뒤따랐다.
또 하천 관련 민원 발생 시 네이버 지도 등을 통해 해당 지번을 확인해 하천명을 확인한 뒤 하천기본계획 또는 실시설계 보고서를 조사하는 등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등 행정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지적됐다.
전북도는 이같은 하천관리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한 ‘지방하천 통합관리시스템’은 민선8기 김관영 도지사의 ‘팀별 벤치마킹’아이디어를 통해 발굴된 사업으로 서울시, 충남도 등이 시행 중에 있다.
도에서는 도 토지정보과가 구축 중인 ‘공간정보분석시스템’과 연계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 지방하천 통합관리시스템이 구축되면 해당 지번 검색을 통해 하천기본계획, 하천 정비현황 등 하천 정보에 대해 일괄 검색이 가능하며, 특히 민원이 많은 사유토지 편입현황에 대해 편입면적부터 편입 사유까지 신속하게 민원인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는 2년간 7억5천만원을 투자할 계획이며, 올해 1차년도는 하천기본계획 등 지방하천 정보를 전산화해 데이터를 구축하고, 내년도에는 웹지도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시․군에서 시스템을 활용할 수 있도록 행정지원시스템을 구축하고 일부 서비스는 홈페이지를 통해 일반인에게 공개하기로 했다.
홍인기 도 물통합관리과장은 “그동안 지방하천에 대한 현황, 성과, 편입토지 등 다양하고 방대한 자료의 관리가 어려운게 사실”이라며 “이번 지방하천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해 하천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됐고, 특히 신속하고 정확한 도민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가장 큰 효과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