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동분서주 현장행정’ 미래농업 현장 찾고, 마을버스 타고! |
우범기 시장은 27일 화전동 애플망고 재배농가와 팔복동 마을버스 차고지(덕진구 추천로 427) 등을 차례로 방문해 농업기술센터와 대중교통본부의 신년 주요 사업계획을 점검했다.
이날 우 시장은 먼저 화전동에 위치한 1,848㎡ 규모의 애플망고 재배농가를 방문해 기후변화 대응 과수농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현장 소통에 나섰다.
이 자리에서 우 시장은 재배시설을 둘러보고 전반적인 재배·유통현황과 애로사항에 대해 청취했다. 또, 농가와의 소통의 시간을 갖고 어려움 속에서도 아열대과수 재배에 도전한 농가를 격려했다.
우 시장은 또 농업기술과 2층 회의실에서 농업기술센터 2023년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점검했다. 시는 올해 농업기술 분야 신규·역점사업으로 △전주농산물 명품화를 위한 공동브랜드 육성 △학교·공공급식 지역농산물 공급 확대 및 친환경농업 육성 △청년농업인 성장기반 조성 등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우 시장은 이어 팔복동 마을버스 차고지를 찾아 대중교통본부의 신년 주요업무를 점검했다.
이 자리에서 우 시장은 시민들에게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올해 추진되는 △전주역사 개선사업 △전주 기린대로 BRT 도입 △쾌적한 버스승강장 및 공영주차장 조성 등의 속도감 있는 추진을 당부하기도 했다.
우 시장은 이에 앞서 마을버스 ‘바로온’ 조촌40번(월드컵경기장↔고잔) 노선에 탑승해 마을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의 생생한 목소리를 청취하고, 현재 20개 노선 14대가 운영 중인 마을버스 ‘바로온’의 운영현황과 향후 확대 도입 계획, 시내버스 노선개편 추진계획 등을 점검하기도 했다.
우범기 전주시장은 “아열대과수 등 기후변화에 대응한 신소득작물을 발굴하고, 청년농업인 육성과 농가소득 증대 등 지역 농업의 경쟁력이 바로 전주의 경쟁력이 될 것”이라며 “이와 더불어 전주시민의 발인 대중교통이 더욱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현장에서 만난 시민들의 의견을 새겨듣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현재 전주지역에서는 만감류와 애플망고, 구아바, 공심채, 그린빈스 등 5가지 아열대작물이 10개 농가, 2.6ha의 규모로 재배되고 있으며, 시는 향후 지속적인 지원을 통해 오는 2025년까지 재배 규모를 5ha로 확대한다는 구상이다. 또, 전주시시설관리공단이 위탁 운영중인 마을버스 ‘바로온’의 경우 연간 약 40만 명이 이용하면서 농촌·교통 불편지역 주민들의 발이 돼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