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 - 부안군, 공공데이터 상시 의견수렴 창구 개설(부안군 제공) |
[굿모닝전북신문=최진수기자] 부안군이 행정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했다. 군민 누구나 손쉽게 참여할 수 있는 공공데이터 상시 의견수렴 창구를 군청 홈페이지에 공식 개설한 것이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데이터 공개 차원을 넘어, 군민과 기업·단체가 직접 목소리를 내고 행정에 반영될 수 있는 참여형 거버넌스 행정 모델을 구축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부안군의 이번 행보는 「공공데이터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에 근거해 추진됐다. 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제도적 장치 마련은 행정 신뢰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군민의 알 권리를 제도적으로 보장하는 중대한 전환이다. 다시 말해, 이제 행정의 방향타는 ‘폐쇄’에서 ‘개방’, ‘일방적 통보’에서 ‘양방향 소통’으로 이동하고 있다는 뜻이다.
군청 홈페이지 내 마련된 창구에서는 군민과 기업, 단체 누구나 △새로운 데이터 개방 요청 △기존 데이터 품질 개선 건의 △데이터 활용 사례 제안 등을 자유롭게 제출할 수 있다. 접수된 의견은 단순히 서류상에 머무르지 않는다. 해당 부서의 실무 검토 과정을 거쳐 실질적인 정책 반영으로 이어지고, 처리 결과까지 공개된다. 이는 그동안 지적돼온 ‘형식적 의견수렴’과는 분명히 결을 달리하는 대목이다.
권익현 부안군수는 이번 조치를 “군민과 행정이 함께 만드는 열린 데이터 행정의 출발점”이라 규정했다. 그는 이어 “투명성과 청렴을 근간으로 한 적극행정을 통해 군민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이 목표”라며, “앞으로도 데이터 개방 확대, 품질 향상, 활용 지원 등을 통해 군민이 체감하는 데이터 기반 행정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사실상 이는 단순 행정 편의 차원의 데이터 공개가 아니라, 군민의 권리 보장과 청렴행정 구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으려는 전략적 행보다. 공공데이터를 통한 투명성 강화는 곧 신뢰 행정의 초석이 되고, 이는 부안군이 지속가능한 미래 행정을 구현하는 데 있어 핵심 경쟁력이 될 수 있다.
특히, 최근 지방자치단체에 요구되는 것은 단순히 민원 처리 속도나 서비스 양적 확대가 아니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정교한 행정, 그리고 주민이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구조가 관건이다. 그런 점에서 부안군의 이번 ‘상시 의견수렴 창구’ 개설은 시대적 흐름에 부합하는 동시에, 타 지자체에도 벤치마킹 사례로 확산될 가능성이 크다.
다만, 이러한 제도가 단순히 보여주기식에 그쳐서는 안 된다. 접수된 의견이 얼마나 충실히 반영되고, 그 결과가 얼마나 투명하게 공개되는지가 성패를 가를 분수령이 될 것이다. 결국, 제도의 진정성은 실행으로 증명되는 법이다.
부안군은 이번 창구 개설을 계기로, 행정이 군민에게 다가가고 군민이 행정에 참여하는 ‘쌍방향 소통의 선순환 구조’를 어떻게 정착시킬지 시험대에 올랐다. 데이터 민주주의를 표방한 이 새로운 제도가 형식이 아닌 실질적 성과로 이어진다면, 부안군은 투명·청렴·적극행정의 모범사례로 기록될 것이다.
최진수 기자 ds4psd@naver.com
AI 시대를 선도하는 굿모닝 전북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