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전북신문=최진수기자]
![]() |
사진 - 부안군일자리센터, 일자리 거버넌스위원들 퍼포먼스(부안군 제공) |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이 일자리를 통해 지역을 지키고 있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지방 소멸’이 현실화되는 가운데, 부안군이 운영 중인 부안군일자리센터(이하 ‘센터’)가 일자리 거버넌스의 중심축으로 떠오르며 농어촌 지역의 고질적인 인력 부족 문제와 청년·중장년 실업 해소에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022년 첫 발을 뗀 이 센터는 개소 2년을 맞은 현재, 지역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기관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고용노동부 전주지청과 전북특별자치도가 주관하는 ‘지역산업 맞춤형 일자리 창출 지원사업’에 선정된 것을 계기로, 농가 일손 부족과 기업의 구인난이라는 이중의 문제에 구조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지역에서 구한 인재, 지역에서 뿌리내린다”
상용직부터 농촌일자리까지 전방위 매칭
센터의 실적은 수치로 증명된다. 운영 첫해인 2024년에는 상용직 구직자 280명을 연계했고, 농가 일자리 연계는 무려 8,920건에 달했다. 2025년 상반기에도 상용직 285명, 농가 일자리 6,954건을 성사시키며 지역 내 일자리 허브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다지고 있다.
특히 농가 일자리 연계 사업은 단순한 인력 매칭을 넘어, 농가에는 중식비와 간식비를 지원하고, 구직자에게는 교통비와 산업재해보험을 제공하는 실질적 지원책으로 호평을 받고 있다. 농촌 고령화로 인해 만성화된 ‘일손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도시에서 일자리를 찾기 어려운 구직자에게는 귀중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중의 효과를 거두고 있다.
“단순 연결을 넘어, 구조 개혁으로”
맞춤형 컨설팅·계층별 연계·서포터즈 운영 등 총력 대응
상용직 부문에서도 센터는 기존의 ‘연결 위주’ 방식을 과감히 탈피했다. 개인 맞춤형 컨설팅, 동행 면접, 면접비 지원(5만원)과 같은 실질적 접근 방식을 도입해 구직자 입장에서 ‘필요한 일자리’를 찾아주는 구조를 정착시켰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중장년층, 청년, 경력단절 여성 등 다양한 계층별 일자리 매칭 프로그램이다. 각 계층별 특성과 필요를 고려한 ‘분기별 타겟 일자리 매칭 전략’을 구사해, 고용사각지대 해소에 앞장서고 있다.
![]() |
사진 - 부안군일자리센터, 일자리 거버넌스(부안군 제공) |
“기업은 인재를, 인재는 기회를”
기업 맞춤형 채용 컨설팅·정부지원 연계까지 원스톱 수행
기업 측면에서도 만족도는 높다. 부안군일자리센터는 기업들에게 단순히 구직자를 소개해주는 수준을 넘어, 채용 컨설팅, 정부 지원사업 연계, 직무 적합도 분석, 현장 맞춤형 채용 지원 등으로, 기업의 인사 부담을 덜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중소기업이 겪고 있는 인력 채용의 구조적 문제—인력 확보 비용 부담, 맞춤형 인재 부족, 정보 접근의 한계—에 대해 센터가 대행기관+컨설팅 기관의 이중 기능을 수행하며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이는 결국 기업과 구직자 모두가 만족하는 양방향 일자리 플랫폼이라는 평가로 이어진다.
“구조를 바꿔야 지역이 산다”
일자리 거버넌스, 이제는 지역 지속가능성의 핵심
센터를 이끄는 최연곤 센터장은 “지난 2년간 축적된 농가 및 상용 일자리 구인‧구직 연계 경험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일자리 미스매치 해소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며, “앞으로는 부안군 내 자원과 수요를 정확히 진단하고 연결하는 지능형 일자리 거버넌스로 진화하겠다”고 밝혔다.
권익현 부안군수는 보다 강한 메시지를 던졌다. 그는 “농가 일자리 연계와 상용 일자리 구직·구인을 통해 부안군만의 특화된 일자리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있다”며, “이는 단순 고용창출을 넘어, 지역 소멸 위기 극복의 핵심 전략이며, 지속가능한 부안 건설의 기초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일자리는 복지이고, 생존이고, 희망이다”
부안형 모델, 전북특별자치도 일자리 전략의 선봉 될까
부안군의 이 같은 실험적 접근은 단지 지역적 사례에 그치지 않는다. 전북특별자치도 내 다수의 농촌 지자체가 인구 감소와 고령화, 산업기반의 해체로 인한 위기를 겪고 있는 가운데, 부안군의 일자리 정책은 하나의 모델이자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가치가 있다.
부안군일자리센터는 앞으로도 ▲지자체 간 협업을 통한 광역 일자리 네트워크 구축 ▲청년층 대상 귀농귀촌 연계 프로그램 ▲신기술 기반 디지털 일자리 연계 ▲산업 트렌드 기반 직업교육 확대 등, 미래형 일자리 정책으로 진화를 예고하고 있다.
지방의 위기는 곧 대한민국의 위기다. 부안군이 보여주는 ‘일자리를 통한 지역 살리기’는, 단순한 고용정책을 넘어 지역 공동체의 생존 전략이다.
그리고 그 중심에, 말보다 실천으로 지역의 문제에 맞서는 ‘부안군일자리센터’가 있다.
최진수 기자 ds4psd@naver.com
따뜻한 뉴스 행복한 만남 굿모닝 전북신문